
저는 훌륭한 작품을 만들려 하기에 앞서 붓을 잡는 자세를 성실히 함으로써 먼저 뜻과 품성을 닦는 오히려 「먼 길」을 걸으려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뜻과 품성이 비로소 훌륭한 글씨와 그림을 가능하게 하리라고 믿고 있습니다. 인도(人道)는 예도(藝道)의 장엽(長葉)을 뻗는 심근(深根)인 것을. 예도(藝道)는 인도(人道)의 대하(大河)로 향하는 시내인 것을. 그리하여 최고의 예술작품은 결국 「훌륭한 인간」, 「훌륭한 역사」라는 사실을 잊지 않으려 합니다. I do not exert myself to produce a good work. I just try to hold the brush in a proper way, in which I can pull together my intention and posture, as if I were preparing myself for a "long journey". Then I let my intention and posture lead me to a work of writing or drawing. I try never to forget that the human nature is the deep root from which all the leaves and flowers of arts grow out. That arts are tributaries to the big river of the human nature. And that the most prescious of all artworks are "good men" and "good histories".(tr. by Orun Kim) <엽서>중에서 대전교도소 1976년7월5일 35세
선생님의 이 글을 읽을 때마다 소동파(蘇東坡)가 추구한 도예병진(道藝竝進:도와 재주가 함께 나아간다)의 정신을 함께 되새기게 됩니다. 붓글씨를 쓴지 어느덧 20여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붓을 잡는 동안에는 深根과 大河를 마음에 두고, 나의 글씨가 더 「훌륭한 人間」, 더 「훌륭한 歷史」 를 돕도록 성실히 「먼 길」을 가야겠다는 다짐 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