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샘터찬물 77번째 편지(2017.04.27)/ 좌경과 우경 |

제가 감옥에서 만난 노선배들로부터 자주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이론은 좌경적으로 하고 실천은 우경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좌경적이라는 의미는 '신목자 필탄관(新沐者 必彈冠) 신욕자 필진의(新浴者 必振衣)'처럼 비타협적인 원칙의 고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경적이라는 의미는 맑은 물에는 갓끈을 씻고 흐린 물에는 발을 씻는다는 현실주의와 대중노선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것인가 하는 오래된 과제를 마주하는 느낌 입니다. "Think as a leftist, and act as a rightist," some old birds told me in prison. A leftist adheres to the principle in an uncompromising way, like a man who brushes off his hat and gown after taking a bath. A rightist conforms himself to the general public in a realistic way, like a man who would wash his hat-lace when the water is clean and wash his feet when it is not. How should we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ideas and reality? An ancient question indeed. [tr. by Orun Kim] 《강의》중에서 2018년 4월 27일이 역사에 어떻게 기록될지 설레는 마음도 크지만 오랜 갈등의 근원에 다가가는 일이기에 조마조마 하기도 합니다. 부디 우리의 소원이 강물처럼 흘러 바다에 이르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바깥에서만 열 수 있는 문은 문이라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열어 주는 문도 문이라 할 수 없습니다. 자기 손으로 열고 나가는 문이라야 합니다.
자기 발로 걸어 나가는 문이어야 함은 물론입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6번째(2018.04.20)/침묵과 요설(饒舌) |

침묵과 요설은 정반대의 외모를 하고 있으면서도 똑같이 그 속의 우리를 한없이 피곤하게 하는 소외의 문화입니다. 나는 이러한 교도소의 문화 속에서 적지 않은 연월(年月)을 살아오면서, 내가 만나는 사람들의 침묵을 열고 요설을 걷어낼 수 있는 제3의 문화를 고집하고 있는 많지 않은 사람 속에 서고자 해왔습니다. 불신과 허구, 환상과 과장, 돌과 바람, 이 황량한 교도소의 문화는 그 바닥에 짙은 슬픔을 깔고 있기 때문이며, 슬픔은 그것을 땅 속에 묻는다 할지라도 '썩지 않는 고무신', '자라는 돌'이 되어 오래오래 엉겨붙는 아픔으로 남기 때문입니다. 제3의 문화는 침묵과 요설의 어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믿습니다. 버리고 싶은 마음, 잊고 싶은 마음을 정갈히 씻어 볕에 너는 자기 완성의 힘든 길 위의 어디쯤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Muteness and talkativeness appear to be opposite things, but they belong to the same 'alienating culture' that exasperates us. Living quite a number of months and years in this prison culture, I keep trying to place myself among the small group of people who seek another culture of opening up the silence and damping down the garrulity. Distrust and falsity, illusion and exaggeration, in the form of stone and wind, cloak the lives in this prisonhouse. The bottom there is filled thick with grief. Grief which, like rubber shoes, will not rot away even buried underground and keep inflicting pains on us for numberless days. I do not suppose that the new culture is located somewhere between silence and garrulity. I expect to find it somewhere on the road to the self realization, where we launder our regretful and pain-stricken minds and hang them out in the sunshine to dry. [tr. by Orun Kim] _<감옥으로부터의 사색>중에서 우리를 가두기위해 저들을 가둔 것이라는 어느 사회학자의 말이 이해되는 것처럼 교도소 안밖의 삶이 다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픔 많은 4월입니다.
'침묵과 요설'을 넘어 이젠 별이된 저 꽃같은 아이들을 가슴에 품는 것이 사람과 인간이 걸어가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5번째(2018.04.13)/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호지무화초 춘래불사춘(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이백(李白)은 호지(胡地)에 꽃나무가 없어서 봄이 와도 봄답지 않다고 하였지만 이곳에서 느끼는 불사춘(不似春)은 봄을 불러 세울 풀 한 포기 서지 못하는 척박한 땅 때문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우리와 우리 이웃들의 헝클어진 생활 속 깊숙이 찾아와서 다듬고 여미고 복돋우는 그런 봄이 아니면
‘4월도 껍데기’일 뿐 진정한 봄은 못되는 것입니다. "In the wasteland where no grass grows and no flower blooms, there is no way to perceive
the coming of the spring. (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Li Bai(李白, 701-762) complained that the spring is not like a spring in uncivilized realms
because there were no flowertrees to indicate it. My reason for failing to feel the spring here is a different one. As long as we do not see a spring that penetrates the troubled lives of our neighbors to support,
comfort and encourage them, what April brings along will be merely an empty shell of a spring. [tr. by Orun Kim]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에서
식목일을 지나 어느덧 4월도 중순에 접어듭니다. 산과 들에 봄은 왔지만 아직 우리 사회 곳곳에,
특히 가난하고 약한 이들에게는 겨울이 한창입니다. 소득이 낮아 취약 지대에 놓인 사람들, 비정규직 노동자들, 취업을 하지 못해 전전긍긍 하는 젊은이들, 성폭력에 시달리는 여성들... 이들 모두 따뜻한 봄을 느낄 수 있도록 사회가 보다 많은 노력과 관심을 기울였으면 합니다. 이들이 더불어 함께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껍데기가 아니라 알찬 4월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4번째(2018.04.06)/ 유각양춘 – 다리가 있는 따뜻한 봄 |
당(唐)나라 현종(玄宗)때의 재상 송경(宋璟)은 따스한 봄볕 같은 인품으로 칭송을 받았습니다. 백성들을 사랑하고 물건을 아껴서 그가 가는 곳마다 풍속이 아름다워졌습니다. 그래서 그를 일컬어 ‘다리가 있는 따뜻한 봄’ (有脚陽春)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Song Jing(宋璟), chancelor of Tang under Emperor Xuan-zong(玄宗), was renowned for extreme benevolence. Wherever he served as a governor or a magistrate, improvement was made in the local customs, thanks to his devotion to the people and his sincerity in his work. That is why people of his time called him "Spring Sunshine on Two Legs(有脚陽春)". [tr. by Orun Kim]
_<처음처럼> 중에서
봄은 반걸음 물러섰다가 두 걸음으로 나아가며 옵니다.
벌써 여기저기 순서없이 산수유, 생강나무, 진달래, 매화 화르르 피어나고 미세먼지 속 우울한 마음을 환하게 합니다.
집 앞 소나무, 산사나무, 매화나무도 수액 올라가는 소리가 힘차게 들리는 듯 합니다.
부드러운 봄 햇살은 나무와 언 땅에게 기지개 펴라하고 기운생동하라 합니다.
새 봄을 맞이하며 누군가에게 ‘다리가 있는 따뜻한 봄’ 같은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3번째((2018.03.30.)/평화의 길 |

더위 피하기 겸해서 「십팔사략」(十八史略)을 읽고 있습니다. 은원(恩怨)과 인정, 승패와 무상, 갈등과 곡직(曲直)이 파란만장한 춘추국의인간사를 읽고 있으면 어지러운 세상에 생강 씹으며 제자들을 가르치던 공자의 모습도 보이고, 천도(天道)가 과연 있는 것인가 하던 사마천(司馬遷)의 장탄식도 들려 옮니다. 지난 옛 사실에서 넘칠 듯한 현재적 의미를 읽을 때에는 과연 역사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살아 있는 대화이며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는 말이 실감납니다. Outline of Eighteen Dynasties (十八史略) is a good read for a summer afternoon. From time to time as I get immersed in the victories and defeats, conflicts and resolutions, goodwills and resentments among various characters in history, I feel as if I were seeing Confucius teaching his students with ginger in his mouth or hearing Sima Qian(司馬遷)'s sigh, wondering if the Way of Heaven exists at all. When I read in the old stories overwhelming relevance to the present, I am reassured again and again that history is truly a continuous conversation amo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that all histories are the history of today. (tr. by Orun Kim)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에서 2018년 겨울 세상에서 가장 뜨거웠던 동계올림픽이 열린 평창의 겨울은 신의 한 수가 있었던, 그 어느 동계 올림픽보다 빛난 그것이였습니다. 세상의 이목이 스포츠를 넘어 평화의 불꽃이 되어 한민족에게 한반도에 빛추었습니다. 오늘의 세계가 춘추시대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힘의 원리가 세상의 질서를 붙잡고 길을 만들고, 갈등을 만들고 봉합하기도 합니다. 그 틈에 놓여 우리의 길을 찾아야하는 분단의 고단함을 넘어서기 위한 주춧돌을 놓았습니다.
사마천의 장탄식, 천도가 평화의 이름으로 한반도에서 시작된 것은 봄날의 얼음 밑의 물 흐르는 소리같이 반갑기 그지없으며 또한 조심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2번째(2018.03.23)/춘풍추상(春風秋霜) |

대인춘풍지기추상(待人春風持己秋霜) 남을 대하기는 춘풍처럼 관대하게 하고 자기를 지키기는 추상같이 엄정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는 일을 돌이켜보면 이와는 정반대일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남의 잘못은 냉혹하게 평가하는가 하면 자기의 잘못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관대합니다. 자기의 경우는 그럴 수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전후사정을 잘 알고 있지만 남의 경우는 그러한 사정에 대하여 전혀 무지하거나 알더라도 극히 일부분 밖에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한의 형평성을 잃지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타인에게는 춘풍처럼 너그러워야하고 자신에게는 추상같이 엄격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대화와 소통의 전제입니다. "Like spring breeze to your neighbor, and like winter frost to yourself." We should be generous to others and strict with ourselves. But in reality we are apt to go the opposite way. We often are very exact in finding other people's faults and quite blind to ours. It is because we know very well about the reasons for our own faults, while we know much less, if at all, about the reasons for others' faults. That is why we have to be generous like spring breeze to others, and severe like winter frost to ourselves, so as to secure the minimum level of fairness. It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any relationship and dialogue.(tr. by Orun Kim)
_<언약> 중에서 춘풍추상을 붓글씨로 써서 책상 앞에 붙여두고 좋은 사람이 되어보려고 노력했지만 되돌아보면 부끄럽기만 합니다. 세상살이가 너무 팍팍해서 여유가 없었다는 말은 옹색한 변명이지요.
봄비 내리는 날 가슴에 손을 올려놓고 가을서리의 엄정함을 따라가 봅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1번째(2018.03.16)/가슴에 두 손 |

사상은 감성의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합니다. 사상은 이성적 논리가 아니라 감성적 정서에 담겨야 하고 인격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성과 인격은 이를테면 사상의 최고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상은 그 형식적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한 개인의 육화肉化된 사상이 되지 못 합니다. 마찬가지로 사회의 경우에도 그 사회의 문화적 수준은 법제적 정비 수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사회 성원들의 일상적 생활 속에서 매일매일 실현되는 삶의 형태로 판단 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략--- 그러므로 사상의 최고 형태는 감성의 형태로 ‘가슴’에 갈무리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감성은 외계와의 관계에 있어서 일차적이고 즉각적인 대응이며 그런 점에서 사고思考 이전의 가장 정직한 느낌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성적 대응은 사명감이나 정의감 같은 이성적 대응과는 달리, 그렇게 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치 않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마음의 움직임입니다. 이러한 정서와 감성을 기르는 것은 인성人性을 고양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면서 최후의 방법입니다. A man's idea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his sentiments. An idea begins to truly belong to a person when it grows beyond the wall of logic and reflects his real feelings. Then it will be an incarnation of the person, something departing from a dry, impersonal idea that depends solely on reason and logic. It is much the same with a society. Cultural values of a society cannot be judged from the level of its legal institutions alone. They can be better watched in the reality of the members' daily lives. (...) That is why I find the real essence of a man's ideas in his heart, preserved in the form of sentiments. His feeling is the primary and immediate response to outside challenges, more honest than his thinking. When you have it, you do not need a sense of duty or a sense of justice to do what you have to do. Your mind just feels uneasy if you do not do it. Cultivating such feelings and sentiments is the best and surest way to enhance human characters. [tr. by Orun Kim] _<강의> 중에서 최근 미투운동이 보여준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은 야만적 수준이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속에서 드러난 한 전도유망했던 정치인의 모습은 언설로 내보이는 개인의 사상이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지도 보여주었습니다. 선생님의 추도식에서 보았던 그의 모습을 떠올리며 당혹스럽기만 합니다.
선생님께서 당부하신 사상을 가슴에 담아 감성적 정서로 만들라는 말씀을 다시 새겨봅니다. '가슴에 손을 얹고 조용히 반성'하는 시간을 자주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
| 샘터찬물 편지 70번째(2018.03.09)/죽순(竹筍) |

“땅속의 시절을 끝내고 나무를 시작하는 죽순의 가장 큰 특징은 마디가 무척 짧다는 사실입니다. 이 짧은 마디에서 나오는 강고함이 곧 대나무의 곧고 큰 키를 지탱하는 힘이 됩니다. 훗날 온몸을 휘어 강풍을 막는 청천 높은 장대 숲이 될지언정 대나무는 마디마디 옹이 진 죽순으로 시작합니다. 모든 시작 하는 사람들이 맨 먼저 만들어내어야 하는 것이 바로 이 짧고 많은 마디입니다. 그것은 삶의 교훈이면서 동시에 오래된 과학입니다. 여러분은 장대숲으로 자라기 위해서 짧고 많은 마디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직면하게 될 숱한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먼저 마디마디 옹이 진 죽순으로 시작 해야 합니다.” A bamboo shoot has thickly knit nodes on it when it emerges out of the ground and begins to grow into a tree. The thickness of the nodes is the source of the strength of the straight and tall tree the shoot will grow into. The flexible strength of bamboo trees in a grove standing against the hard wind derives from the thickly knit nodes on the shoots. It is these thickly knit nodes that you have to arm yourself with before you set out on a long journey. That is the teaching of life and also of age-old science. So as to grow into a tall tree and become a part of a magnificent grove, you need to have in you a plenty number of stout nodes. Those nodes which will prepare you against all kinds of difficulties you are to meet during the journey.(tr. by Orun Kim) - <2006년 서울대학교 입학식 축사 중에서> 산과 들에 시절 좋은 비가 내립니다. 봄을 재촉하는 반가운 소리입니다. 또다시 새로운 출발선에 선 3월, 마디마디 옹이 진 죽순을 떠올리며 마음을 견고하게 다잡아 봅니다. 그리고 뿌리가 마디마디 연결되어 서로를 강고히 지탱해 주는 청천 높은 장대 숲을 기약해 봅니다.
|
| 샘터찬물 편지 69번째(2018.03.02)/산천의 봄 |

산천의 봄은 흙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부터 옵니다. 얼음이 박힌 흙살을 헤치고 제 힘으로 일어서는 들풀들의 합창 속에서 옵니다. 세상의 봄도 다르지 않습니다. 사람들 사이에 박힌 불신이 사라지고 갇혀 있던 역량들이 해방 될 때 세상의 봄은 옵니다. 산천의 봄과 마찬가지로 무성한 들풀들의 아우성 속에서 옵니다. 모든 것을 넉넉히 포용하면서 어김없이 옵니다.
The beginning of a spring in the fields takes place at the surface of the soil. It is heard in the chorus of grassroots breaking the frosty earth to get into the world. It is much the same with a spring in the human society. It arrives here as the frosty earth of distrust is broken and human capacities are released from confinement. It too is heard in the chorus of grassroot people. Spring never fails to come, embracing all the creatures in the world. (tr. by Orun Kim) _<처음처럼> 중에서
끝나지 않을 듯한 혹독한 한파도 봄볕에서는 어쩔 수 없는 듯 봄에게 자리를 내어 줍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무사히 치러지고 세계 만방에 남북이 하나됨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시간도 가졌습니다. 주변 강대국은 이래저래 심기 불편하겠지요... 산천의 봄이 오 듯 이제 시절인연이 되어 살아생전 버스 타고 영변 약산 진달래꽃 보러 가는 것이 소망입니다.
그 염원 들풀처럼 모아지면 이루어질까요?
|
| 샘터찬물 편지 68번째(2018.02.23)/분단의 벽 |

베를린의 슈프레 강가에는 강을 따라 2킬로미터에 달하는 분단시절의 장벽이 남아 있습니다.그 장벽에는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환희를 새긴 수많은 글과 그림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글과 그림들은 지난 세월 독일인들이 치러야 했던 분단의 아픔과 희생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나는 장벽을 따라 천천히 걸으며 읽어 보았습니다. "사상은 하늘을 나는 새들의 비행처럼 자유로운 것이다." 분단이란 땅을 가르는 것이 아닌 마치 하늘을 가르려고 하는 헛된 수고임을 깨닫게 하는 글입니다. 누군가 한글로 적어두었습니다. "우리도 하나가 되리라." A mile-odd length of the Berlin Wall is preserved along the bank of the Spree. The surface of the wall is filled with drawings and writings that depict the pains of division and the joys of unification. They testify to the agonies and sacrifices of the German people during the years of division. I strolled along the wall, reading some of them. "A man's thought, like a bird's flight, is free." It recounts to me the futility of trying to divide the World. Even if they appear to have divided the land, they will never divide the air. Somebody has written in Korean: "We too will be one."(tr. by Orun Kim) _<처음처럼>중에서 지금 평창에서는 동계올릭픽이 한창입니다. 한쪽에서는 반가운 손님을 맞아 감동적인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또 한쪽에서는 태극기를 흔들며 강하게 남과 북의 만남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사상은 새들의 비행처럼 자유 로운 것이라 하지만 우리는 아직 높이 올라 멀리 바라볼 수 있는 힘이 없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 할까요?
|
| 샘터찬물 편지 67번째(2018.02.17)/인동의 지혜 |

자기 체온 외에는 온기 한 점 찾을 수 없는 독거는 그 추위가 더합니다. 그럼에도 저는 지난 가을이래 독거하고 있습니다. 제가 구태여 독거를 마다하지 않는 것은 추위가 징역살이의 가장큰 어려움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도소의 겨울이 대단히 추운 것이긴 하지만 그대신 이곳에는 오래전부터 수만은 징역 선배들이 수십 번의 겨울을 치르면서 발전시켜온 "인동의 지혜"가 무의촌의 토방처럼 면면히 구전되어오고 있습니다. 이 숱한 지혜들에 접할 때 마다 그 긴 인고의 세월 속에서 시린 몸으로 체득한 그 지혜들의 무게와 그 무게 상징 하는 힘겨운 삶이 싱싱한 현재성을 띠고 우리들의 삶속에 뛰어 듭니다. With no source of heat at all other than your own body, the solitary confinement cell is the coldest place in the prisonhouse. I have been staying there ever since last autumn. I do not strive too hard to keep away from it, because I do not regard the cold as the most dreadful thing for a prisoner. The winter cold is very severe in prison indeed, but you can also find there a rich set of "anti-cold recipes" prepared by countless forerunners over a long period of time, just like the folk medicine in an old village without doctor. As I practice some of the recipes, I feel a weighty volume of wisdom entering my life with full relevance. Wisdom attained through ages and ages of shivering, whose volume testifies to so many painful lives. (tr. by Orun Kim) <엽서> 중에서
지구온난화가 무색하지 않을 수 없는 겨울입니다. 간간이 겨울 속에 봄이 찾아 들었다 깜짝 놀라 물러나곤 하는 보너스같은 따듯함이 있었는데 올해는 내리 가문 추위가 과히 동장군의 진면모를 제대로 드러낸 겨울입니다. 길기도 하고 춥기도 한 겨울을 이기는 방법이 각자 다르지만 그래도 이 겨울 추위 이기는 제일은 찬 손끝에 남아 있는 온기 입니다. |
| 샘터찬물 편지 66번째(2018.02.09)/죄수의 이빨 |

생각해보면 비단 이빨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이 곧 우리들의 심신의 일부분을 여기, 저기,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나누어 묻는 과정이란 생각이 듭니다. 무심한 한마디 말에서부터 피땀 어린 인생의 한 토막에 이르기까지 혹은 친구들의 마음 속에, 혹은 한 뙈기의 전답(田畓) 속에, 혹은 타락한 도시의 골목에, 혹은 역사의 너른 광장에……, 저마다 묻으며 살아가는 것이라 느껴집니다. 돌이켜보면 나의 경우는 나의 많은 부분을 교도소에 묻은 셈이 됩니다. 이것은 흡사 치과의 포르말린 병 속에 이빨을 담은 것처럼 답답한 것이기도 합니다. Come to think of it, perhaps it is not only the teeth that we shed off through the course of life. Life may be just a process of distributing fragments of our minds and bodies to various places and various persons. They can be anything, either just a passing word, or a whole segment of our lives. We keep sowing them in our friends' minds, in a small plot of field, in a dirty alley of a decadent city, or in the open square of History. As for me, I have left a good part of myself in the prisonhouse. It makes me feel cluttered, like a pulled-out tooth put in a formalin bottle. (tr. by Orun Kim)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중에서 무릎을 치게 만드는 글입니다. 생각해보면 살아오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났고 그들에게 나를 남겨두게 되었습니다. 가끔은 무심히 지나온 일들이 그에게 상처로 남은 것을 알고 당황할때도 있고, 지난 날 역사의 광장에 함께 했음을 술안주로 당당히 내놓을 때도 있고, 꼭 서 있어야할 자리에 서지 못했음을 술 한잔으로 자책하는 일도 있습니다. 그러고보면 살아가는 일이 여간 조심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늘 긴장하며 살아갈 수는 없는 노릇이고, 성찰로 자신을 다듬으며 살아가야 하는 것 같습니다.
어느 곳에 나의 일부를 그리고 어떤 모습을 벗들의 마음속에 남기며 살아갈지를 생각합니다.
|
| 샘터찬물 편지 65번째(2018.02.02)/교(巧)와 고(固) |

자기의 글씨에 대한 스스로의 부족감과, 더러는 이 부족감의 표현이겠읍니다만, 글씨에 변화를 주려는 강한 충동 때문에 붓을 잡기가 두려워집니다. 무리하게 변화를 시도하면 자치 교(巧)로 흘러 아류가 되 기 쉽고 반대로 방만한 반복은 자칫 고(固)가 되어 답보하기 쉽다고 생각됩니다. 교는 그 속에 인성이 담기지 않은 껍데기이며, 고는 제가 저를 기준 삼는 아집에 불과한 것이고 보면 “允執厥中(윤집궐중)” 역시 그 중(中)을 잡음이 요체라 하겠읍니다만 서체란 어느덧 그 “사람”의 성정 이나 사상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결국은 그 “사람”과 함께 변화, 발전해 나감이 틀림없음을 알겠습니다. Usually it is the discontent with my own style, and at times a strong urge to change it, that makes me reluctant to take hold of the writing brush. Excessively contrived effort for change may lead to misconceived sophistication, while changeless repetition is likely to result in inflexible stagnation. Misconceived sophistication is an empty shell that does not hold my own personality, while inflexible stagnation is a closed trap of confining myself. I should find a way of synthesizing the two properly, following the ancient teaching "允執厥中". Since a man's writing style is the reflection of the man's feelings and thinkings, its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supposed to be made in step with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man himself. (tr. by Orun Kim) t.n. "允執厥中" was the central part of Emperor Yao's advice to Emperor Shun on handing over the throne. It is generally understood to mean "Concentrate on the important matter, avoiding the extremes." <엽서> 중에서 붓글씨를 쓰다 보면 변화에 대한 충동을 절제하기가 무척 힘듭니다. 사람의 외적인 변화보다 심적인 변화를 인지하기 힘들 듯 붓글씨도 밖으로 금새 드러나는 글자의 구조적인 변화에 비해 한획, 한획 그 획 자체에 대 한 변화를 인식하기가 힘듭니다.
“無變而萬變:변함이 없음이 오히려 만가지 변화를 만든다.”이란 말이 있듯 자기 절제를 하지 못해 시도하는 무수한 변화는 오히려 추태(醜態)가 되기도 합니다. 글자의 구조적 변화도 놓칠 수 없지만 더불어 쓰는 이의 마음의 변화, 내밀히 감춰진 획의 변화(획의 질감,무게,두터움...)도 함께 일궈 나가야겠습니다. 결국 붓글씨를 통해 “無以爲化: 없음으로 변화를 이룸.”로 나가는 우직(愚直)한 심성을 길러야겠습니다.
|
| 샘터찬물 편지 64번째(2018.01.26) / 빛과 어둠 |

빛은 어둠을 만들고 어둠은 빛을 드러냅니다. 기쁨과 아픔 환희와 비탄은 하나의 창문에서 바라보는 하나의 풍경인지도 모릅니다. 빛과 그림자 이 둘을 동시에 승인하는 것이야 말로 우리의 삶을 정면으로 직시하는 용기이고 지혜라고 생각됩니다. 빛은 어둠을 만들고 어둠은 빛을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용기와 지혜는 당신의 말처럼 ‘결합의 방법’입니다. 선량하나, 나약하지 않고 냉철하나 비정하지 않고 치열하나 오만하지 않을 수 있는 ‘결합의 지혜’ ‘결합의 용기’라고 생각됩니다.
_<나무야, 나무야 > 중에서 Pleasure and pain, joy and grief, all may be contained in the same view seen through the same window. It is in acknowledging both the light and the shadow at the same time, that you find the courage and wisdom with which you can face your life squarely. The shadow derives from the light, and the light is revealed by the shadow. The true meaning of courage and wisdom, as you say, lies in the "way of union". Good-hearted, but not weak-minded. Cool-headed, but not cold-blooded. Confident, but not arrogant. There, you will find both the "wisdom of union" and the "courage of union". (tr. by Orun Kim)
우이선생님 떠나신지 2주기... 며칠 전 선생님 추모전에서 마지막으로 남기신 글을 만났습니다. '우리 사회를 보다 인간적인 사회로 만들어 가는 먼 길에 다 들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선생님은 떠났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生生 하게 살아서 저희 곁에 오십니다. 선량하나, 결코 나약하지 않는 마음으로 인간적인 사회를 만들어가는 먼 길 동행하겠습니다. ‘自燈明’ 선생님의 가르침을 스스로의 등불로 삼아 먼 길 밝히며 함께 나아가겠습니다.
|
| 샘터찬물 63번째 편지(2018.01.19)/ 떠나는 이의 마음 |

인생살이도 그러하겠지만 더구나 징역살이는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단촐한 차림으로 살아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막상 이번 전방 때는 버려도 아까울 것 하나 없는 자질구레한 짐들로 하여 상당히 무거운 이삿짐(?)을 날라야 했습니다.
입방 시간에 쫓기며 무거운 짐을 어깨로 메고 걸어가면서 나는 나를 짓누르는 또 한 덩어리의 육중한 생각을 짐지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내일은 "머-ㄴ 길"을 떠날 터이니 옷 한벌과 지팡이를 채비해두도록 동자더러 이른 어느 노승이 이튿 날 새벽 지팡이 하나 사립앞에 짚고 풀발선 옷 자락으로 꼿꼿이 선채 숨을 거두 었더라는 그 고결한 임종의 자태가 줄곧 나를 책망 하였습니다.
I believe in simple life. All the simpler in jail, so I could leave it any time with ease. It embarrassed me to find myself burdened once more with a heap of petty things, which I would like to do without, on this transfer to another prison.
On the way to the new prison, as well as the heavy bundle on the shoulders, a weighty thought kept pressing on my mind. A thought about the Old Master who told the attendant boy to prepare a clean gown and a walking stick for a long, long jouney tomorrow morning. At dawn the next morning the Master breathed his last, wearing a crispy gown, slighly leaning on the stick, by the entrance to the hermitage. The sublime posture of his departure was reproving me all the way. (tr. by Orun Kim)
<엽서> 중에서
선생님이 우리곁을 떠나시고 두번째 겨울을 맞았습니다. 노승처럼 지팡이 하나 의지해 "머~ㄴ 길" 가셨지만 숲은 한뼘, 한뼘 무성해 지고 있습니다.
|
| 샘터찬물 62번째 편지(2018.01.12/ 더불어숲 |

내가 <더불어숲>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있는 까닭은 그것을 마음속의 그림으로 간직하기 시작했던 곳이 삭막한 감옥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독방에서 가끔 읊조리던 <엘 콘도르 파사>의 노래가 계기가 되었다고 기억한다.당시의 심정이 가지 끝을 떠나지 못하는 달팽이와 같았고 한 점에 박혀 있는 못과 같았기 때문이다.그런데 마지막 구절의 "길보다는 숲이 되고 싶다." 는 반전이 감동이었 다.
길은 참새처럼 훨훨 떠나는 이미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한 곳을 지키고 있는 숲이 되고 싶다는 것이었다. 숲이 되어 발밑의 땅을 생각하겠다는 것이었다. 갇혀있던 나로서는 새로운 깨달음이었다. 비록 떠날 수는 없지만 숲은 만들 수 있겠다는 위로였고 감옥의 가능성이기도 하였다. 돌이켜 생각하면 발밑의 땅을 생각하며 숲을 키우는 것. 이것은 비단 나만의 감상이 아니라 우리 시대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I have been growing a particular attachment to the idea of "Forest Together" ever since the image settled down in my soul during the desolate years in prison. The image came from the verses of "El Condor Pasa", which I used to hum to myself in the solitary confinement cells. At the time, I was a snail, unable to leave the tip of the twig, and a nail, stuck to a spot. To such a creature, the reversal to the forest, "I'd rather be a forest than a street", was a deeply moving enlightenment.
The street, like the sparrow, has freedom. Yet the singers would rather be a forest, stuck at a location. And feel the earth beneath their feet. Be a forest, and feel the earth beneath, it was a revolutionary vision indeed to a man in confinement. It was a consolation that you can become a forest, though you cannot leave the here and now. It was a new possibility for the prisoner. As I think more of it, it seems to be not only a personal aspiration, but a collective assignment for the society of the time, to be a forest and feel the earth beneath. (tr. by Orun Kim)
<나의 대학시절>에서
신영복선생님께서 우리 곁을 떠나신지 어언 2년. 그리고 올해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출간 30주년이 됩니다. 2주기를 기억하며 사단법인 더불어숲에서 추모식과 전시회를 기획했습니다.
오늘은 <더불어숲>을 사랑하셨던 선생님을 그리워하며 이 노래를 불러드리고 싶어요. 우리 다함께 불러 볼까요, 선생님 귀에 가서 닿을 때까지....
El condor pasa
I'd rather be a sparrow than a snail Yes, I would If I could I surely would
I'd rather be a hammer than a nail Yes, I would If I only could I surely would
Away, I'd rather sail away Like a swan that's here and gone A man gets tied up to the ground He gives the world its saddest sound It's saddest sound
I'd rather be a forest than a street Yes, I would If I could I surely would
I'd rather feel the earth beneath my feet Yes, I would If I only could I surely would
달팽이가 되기보다는 참새가 되어야지. 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 못이 되기 보다는 망치가 되어야지. 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 멀리 멀리 떠나고 싶어라. 날아가버린 백조처럼. 인간은 땅에 얽매여 가장 슬픈 소리를 내고 있다네, 가장 슬픈 소리를. 길보다는 숲이 되어야지. 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 지구를 내 발밑에 두어야지. 그래, 그럴 수만 있다면 그게 좋겠지.
"길보다는 숲이 되어야지"
|
| 샘터찬물 61번째 편지(2018.01.05)/ 일출 |

태산 일출을 보지 못하고 험한 얼음길을 내려오면서 몇 번이고 다짐했습니다. ‘산
위에서 떠오르는 해는 진정한 해가 아니다.’ 동해의 일출도, 태산의
일출도 그것이 그냥 떠오르는 어제 저녁의 해라면 그것은 조금도 새로울 것이 없다는 자위 같은 다짐이었습니다. 그러나
또 한 편 생각해보면 새로운 아침 해는 우리가 우리들의 힘으로 띄워 올리는 태양이라야 할 것입니다. 어둔
밤을 잠자지 않고 모닥불을 지키듯 끊임없이 불을 지펴 키워낸 태양이 아니라면 그것은 조금도 새로운 것이 못 될 터 입니다. Climbing down the rugged and icy trail of
Taishan after failing to watch the sunrise, I repeated to myself: "There
is nothing particular about the rising sun watched from a mountaintop." It
was an reassurance to myself that, if the rising sun is the same one that went
down last evening, it could not be 'new' at all, whether it is watched from an
East Coast beach or from the top of Taishan. On the other hand, the truly 'new' morning
sun should be the one raised up by the force of our wishes. To be able to watch
it, we should have kept up through the dark night trying to add to it the heat of our minds, in the way we take care of a bonfire. (tr. by Orun Kim) <더불어숲> 중에서 무술년 새아침 새해가 떠올랐습니다. 촛불시민의 힘으로 낡은 것들을 청산하며 맞이하는 새해는 어제보다 다른 오늘을 기대하며, 독재타도와 민주주의를 외치며 맞이했던 30년 전 그날을 떠올려 봅니다. 과연, 오늘의 태양은 30년
전 그날의 태양보다 새로운 것이었나?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분단국가, 청년실업과 세대간 불평등, 빈부격차 심화 등등 산적한 과제들이 엄습해 오지만 가슴에 품은 촛불 하나하나가 모여 횃불이 되고, 횃불이 모여 모이면 태양을 키울 수 있지 않을까? 새해 새아침에는
함께 바다로 가는 꿈을 꾸어 봅니다.
|
| 샘터찬물 60번째 편지(2017.12.29)/ 새해 |

새해가 겨울의 한복판에 자리잡은 까닭은
낡은 것들이 건너지 못하기 때문인가 봅니다. 낡은 것으로부터의 결별이 새로움의 한 조건이고 보면 칼날
같은 추위가 낡은 것들을 가차없이 잘라버리는 겨울의 한복판에 정월 초하루가 자리잡고 있는 까닭을 알겠습니다. 세모에
지난 한 해 동안의 고통을 잊어버리는 것은 삶의 지혜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잊지 않고 간직하는 것은
용기입니다. 나는 이 겨울의 한복판에서 무엇을 자르고, 무엇을
잊으며, 무엇을 간직해야 할지 생각해봅니다. -1984년 12월 28일 대전에서-
A new year begins right in the middle of
the winter, maybe, so as to keep certain things f rom dragging on. To be new,
you have to depart from some old things. In the deepest of the winter, the
remorseless cold will be of some help in cutting off the past. At the end of a year, it is wisdom that
allows us to forget the painful things of the past year. And it is courage that
enables us to preserve some of them. In the middle of the winter, with a new
year ahead, I keep wondering which things to cut off, which things to forget, and which things to preserve.(tr. by Orun Kim) _<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에서
차가운 겨울의 한복판에서 정유년을 보내고 무술년 새해를
맞이하게 됩니다. 정유년은 우리 모두에게 다사다난(多事多難) 했던 한 해였습니다. 우리가 결별하고 가차없이 잘라버려야 할 낡은
것들... 그것을 잊지 않고 간직해야 할 용기가 필요한 세모(歲暮)입니다. 반성과 성찰로 곤이지지(困而知之: 곤경을 당하면 깨달음을 얻는다.)하는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 샘터찬물 59번째 편지(2017.12.22)/ 여행 |

여행은 떠남과 만남입니다. 떠난다는 것은 자기의 성(城)밖으로 걸어나오는 것이며, 만난다는 것은 새로운 대상을 대면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행은 떠나는 것도, 만나는 것도 아닙니다. 여행은 돌아옴(歸) 입니다. 자기자신의 정직한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며, 우리의 아픈 상처로 돌아오는 것일 뿐입니다. A journey consists of a departure and an encounter. A departure is walking out from one's own realm, and an encounter is getting associated with strangers. But neither is the real essence of a journey. It is a return, a return to our honest selves and to our sore wounds. (tr. by Orun Kim)
<처음처럼> 중에서 공자, 석가, 노자, 예수... 그 분들도 길 위에서 무수한 사람들의 삶을 만났고 치유하며, 깨달음을 얻고 또한 나누었습니다. 나의 여행은 떠나기 전에 언제나 설레임과 두려움이 동반합니다. 낯선 장소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며, 내가 가진 편협한 사고(思考)의 틀을 깨트리는 시간과 공간을 마주하게 됩니다. 한 해가 저물어갑니다. 올 한 해, 삶의 여정은 어떠셨는지요... 자신을 돌아봄으로,
변화하고 나아가는 새해로 떠나는 멋진 여행이 되시길 빕니다.
|
| 샘터찬물 58번째 편지(2017.12.15)/ 일년의 끝자락에서 세우는 각오 |

잡사(雜事)에 부대끼 면서도 자기의 영역(領域)은 줄곧 확실하게 지켜야 하는 법인데 그간의 징역살이도 모자라 여태 이력이 나지 않았다면 이는 필시 저의 굳지 못한 심지(心地)와 약한 비위(脾胃)의 소치라 부끄러워 해야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시월이 아직 남았으니 그 전에 서서히 제자신을 다그쳐서 무릎꿇고 사는 세월이 더는 욕되지 않도록 스스로를 경계(警戒)하겠습니다.
On the decline of a year in prison
Whatever mundane things your life may be filled with, you must not ever lose the grip on your own realm. If the time here has not disciplined me enough for that, I cannot but feel ashamed of the frailty of my will and the limits of my aptitude.
Yet October is not all over. While in it, I will tighten myself steadily, so that life in this kneeling posture will no more be so shameful.(tr. by Orun Kim)
_<엽서> 중에서
개인이든 역사든 올 한해를 마무리 하는 시간을 맞이 하고 있습니다. 결코 순탄한 한해가 아니였습니다.
담배 끊겠다는 각오, 술 줄이겠다는 맹세, 공부 열심히 하겠다는 서약, 올해 벽두에 세웠던 계획과 마음가짐이 모두 실천되어 지지는 못했겠지만 2018년 한해는 자신을 다그쳐 스스로를 경계(警戒)하는 해가 되는 각오를 노을지게 해 봅니다.
|